안녕하세요:)
오늘은 전달인자(Argument)와 매개변수(Parameter)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아래의 코드는 매개변수 이름과 레이블의 표현 방식입니다. 띄어쓰기를 하다가 조금 헷갈릴 수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 띄어쓰기 부분에 _로 표시해 두었으니 참고해주세요 :)
func 함수 이름(전달인자_레이블 매개변수_이름: 매개변수_타입, ...) -> 반환_타입 {
실행_구문
return 반환_값
}
위의 예시만 봐도 알 수 있을 거 같지만, 아래의 예시 코드를 보면서 전달인자(Argument)와 매개변수(Parameter)에 대해 조금 더 풀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func add(_ a: Int, _ b: Int) -> Int {
return a + b
}
add(10, 5) // add(a: 10, b: 5)
전달인자(Argument)
"전달인자"는 말은 말 그대로 전달하는 "인자(값)"를 뜻하는데요, 함수를 실제로 호출할 때 전달하는 "값"을 의미합니다.
add(10, 5) // add(a: 10, b: 5)
위의 코드에서 add 함수를 호출할 때 10과 5는 각각 매개변수 a와 b에 전달됩니다. 이 부분에서 전달하는 값인 10과 5가 "전달인자(Argument)"입니다.
매우 쉽죠? 다음으로는 매개변수를 알아봅시다. 😋
매개변수(Parameter)
매개변수는 함수의 정의 부분에서 볼 수 있는데요. 전달인자를 받는 "변수"들을 의미합니다.
매개변수도 예시 코드를 가져와서 보겠습니다.
func add(_ a: Int, _ b: Int) -> Int {
return a + b
}
위 함수에서 a와 b는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로, 이를 "매개변수(Parameter)" 라고 합니다.
바로 위에서 말씀드렸듯이, 매개변수는 전달인자를 받는 "변수"입니다. 즉, 전달인자인 10과 5 값이 각각 매개변수인 a와 b 변수에 전달되는 것입니다.
어떤가요? 이름은 어렵게 느껴졌을지 몰라도 한 번 알아보니 쉬운 내용이라고 느끼셨을 거 같아요 :)
마지막으로 정리하자면, "전달인자(Argument)"는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값이고, "매개변수(Parameter)"는 이 값을 함수 내부에서 받아 사용하는 변수입니다.
전달인자(Argument)와 매개변수(Parameter)에 대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으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네요 👍
오타나 틀린 내용이 있다면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Swif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Swift 지식] stride 함수 (백준 2742번 기찍 N, 역수 구하기) (0) | 2021.10.24 |
---|---|
[오늘의 Swift 지식] In-Out이란 무엇일까? (0) | 2021.08.24 |
[오늘의 Swift 지식] if let과 guard let의 차이는? (0) | 2021.08.09 |
[오늘의 Swift 지식] Optional Binding이란? 🧐 (0) | 2021.08.05 |
[오늘의 Swift 지식] 정렬 sort()와 sorted() (0) | 2021.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