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자료구조] 스택(Stack)과 큐(Queue)에 대해서 알아보자!
📌 스택(Stack)이란 무엇일까? 스택(Stack)은 "쌓다"라는 의미로, 데이터를 차곡차곡 쌓아 올린 형태의 자료구조입니다. 조금 더 설명하자면, 위의 사진과 같이 데이터가 순서대로 쌓이며 가장 마지막에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간단한 예시로는 책상에 책을 쌓아두는 것과 포개 둔 일회용 종이컵을 하나하나 꺼내서 사용하는 것으로 예시를 들 수 있을거같네요 😋 또한 스택은 정해진 방향으로만 쌓을 수 있으며, top으로 정한 곳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새로 삽입되는 자료는 top이 가리키는 가장 맨 위에 쌓이게 되며, 자료를 삭제할 때도 top을 통해서 삭제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스택에서는 삽입 연산을 push, 삭제 연산을 pop이라고 하며, 이러한 스택의 구조..
[Git] .gitignore 파일은 뭘까? 그리고 언제 사용할까?
.gitignore이라는 이름은 들었지만, 정작 사용할 필요성이 느껴지지 않아서 그냥 넘어가던 지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깃허브를 사용하다가 필요성이 느껴져서 공부하고 정리하게 되었네요 👋 .gitignore 파일이란? .gitignore 파일이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파일들 즉, Git 버전 관리에서 제외할 목록을 지정하는 파일인데요. git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하다 보면 git에는 올려서는 안 되거나 불필요한 파일들이 있을 것입니다. 물론, 명령어로 일부 파일만 제외하면 되겠지만, 모든 커밋에 그런 행동을 하는 것은 매우 귀찮고 힘든 일이겠죠? 따라서, gitignore라는 파일을 만들어서 무시할 파일들을 넣어주는 것입니다. 그러면 .gitignore 파일을 생성해보자! 😤 .gitignore은..
[iOS] Xcode 시뮬레이터 키보드가 안보일 경우
iOS 앱을 만들다가 키보드가 안 올라올 경우, command + K를 눌러주면 터치바가 올라오게 됩니다. 하지만, 매번 command + K를 해주기에는 귀찮으니 설정으로 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Xcode가 아닌, Simulator에서 사진과 같이 I/O -> Keyboard -> Connect Hardware Keyboard를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매우 간단한데.. 방법을 몰라서 삭제하고 다시해야하나 한참 고민했네요.. 😅
모바일 앱의 개념 및 유형을 알아보자!
네이티브 앱(Native App) 네이티브 앱은 모바일 기기의 안드로이드 혹은 iOS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합니다.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언어로 개발한 앱으로, 안드로이드 SDK를 통해서 Java, Kotlin으로 개발하는 앱과, iOS 기반 SDK를 통해 Swift, Objective-C 언어로 만드는 앱입니다. (SDK: Software Development Kit의 약자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프로그래머들을 위해 제공하는 개발 도구) 예를 들자면, 우리가 사용하는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이 있겠네요 🤔 장점 네이티브 앱은 웹 앱, 하이브리드 앱과 비교해도 가장 성능이 좋습니다. Android, iOS 기반의 API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개발 속..